용액, 용해 과정
용해 과정의 분자적 고찰
1. 용액 안에는 3가지 종류의 분자간 인력이 존재
(1) 용질-용질 상호작용
(2) 용매-용매 상호작용
(3) 용질-용매 상호작용
-> 용해도는 이 3가지 상호작용의 상대적 세기에 의존
2. 용액 형성 조건
용질-용매 상호작용 ≥ 용질-용질 상호작용
용질-용매 상호작용 ≥ 용매-용매 상호작용
3. 용액 형성의 에너지론
<용해 단계>
1 단계 : 용매 분자들의 분리. 흡열 과정, ΔH1
2 단계 : 용질 분자들의 분리. 흡열 과정, ΔH2
3 단계 : 용매와 용질 분자의 혼합, 발열 혹은 흡열 과정, ΔH3
용해열, ΔHsoln = ΔH1 + ΔH2 + ΔH3
① 용매-용질간 인력 > 용매-용매, 용질-용질간 인력 → 발열 과정: ΔHsoln<0
② 용매-용질간 인력 < 용매-용매, 용질-용질간 인력 → 흡열 과정: ΔHsoln>0
①의 경우에는 엔탈피 (-), 엔트로피 (+) → 자유에너지 (-)
②의 경우에는 엔탈피 (+), 엔트로피 (+) → 자유에너지 (-)
①의 경우에는 전혀 이상하지 않다. 이성적으로나, 에너지적으로나.
But, ②의 경우에는 좀 이상하다.
먼저 에너지적으로 불리하고, 이성적으로도 이해 안 된다.
화학에서 다루는 변화는, 그것이 물리적이든 화학적이든,
두 명의 도사, 이를테면 배추도사, 무도사가 허락을 해야 가능하다.
배추도사는 여러분도 잘 아는(?) 엔탈피(H)이다.
무도사는 아직 여러분이 잘 모르는 엔트로피(S)이다.
그리고 이들 도사 위에는 옥황상제가 계시지, 이름하야, 자유에너지(G).
이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존재한다.
ΔG = ΔH - TΔS
-> 자유에너지의 값이 0보다 작을 때, 비로소 변화가 일어난다, 정방향으로.
'일반화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응 속도와 효과적 충돌(effective collision) (0) | 2012.06.26 |
---|---|
화학 반응 속도론 (1) (0) | 2012.06.26 |
고분자, 5대 범용 플라스틱 (Big Five) (0) | 2012.06.24 |
스펙트럼과 뉴턴 (0) | 2012.06.24 |
수용액 중의 이온화합물의 반응, 알짜이온방정식 (0) | 2012.06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