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반화학2012. 6. 23. 20:05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수용액 중의 이온화합물의 반응, 알짜이온방정식

 

많은 반응이 물 속, 즉 수용액 중에서 일어난다. 예를 들면, 마그네슘 리본을 HCl 수용액에 넣으면 맹렬히 거품을 내며 수소기체가 발생한다.

 

Mg(s) + 2HCl(aq) → MgCl2(aq) + H2(g)↑

 

여기서 aq는 수용액 중에서 이온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(염산과 염화마그네슘은 수용액 중에서 강전해질이다.). 위 반응식을 다시 고쳐 쓰면 다음과 같다.

 

Mg(s) + 2H+(aq) + 2Cl-(aq) → Mg2+(aq) + 2Cl-(aq) + H2(g)↑

 

Cl- 이온이 방정식의 반응물과 생성물 양쪽에 똑같은 형태로 나타나 있다. 이러한 이온을 알짜과정에 관련되지 않았다고 해서 구경꾼 이온(spectator ion)이라 부른다. 이것은 이 이온을 빼고 방정식을 쓰더라도 화학량론적인 정보의 손실이 없음을 의미한다. 그래서 다음과 같이 간단히 쓸 수 있다.

 

Mg(s) + 2H+(aq) → Mg2+(aq) + H2(g)↑

 

구경꾼 이온이 제거된 방정식을 알짜이온방정식(net ionic equation, 반응 경로 중 화학적으로 상태가 변한 원자만 관여함)이라 부른다. 알짜이온방정식은 완결된 반응의 본질적인 부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.

 

예) 알짜이온방정식 쓰기와 계수 결정

 

AgNO3와 CaCl2로부터 AgCl과 Ca(NO3)2가 생성되는 반응에 대해서 계수와 결정된 알짜이온방정식을 써라.

 

1 단계 : 계수가 결정된 방정식을 쓴다.

 

( )AgNO3 + ( )CaCl2 → ( )AgCl + ( )Ca(NO3)2

 

2 단계 : 각각의 화합물의 가용성을 결정한다.

 

3 단계 : 완결된 이온방정식을 쓴다.

 

4 단계 : spectator ion을 제거하면 알짜이온방정식이 된다.

 

5 단계 : 마지막으로 방정식 양쪽의 이온 전하량의 합이 같은가 본다.


P 영원파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.

'일반화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고분자, 5대 범용 플라스틱 (Big Five)  (0) 2012.06.24
스펙트럼과 뉴턴  (0) 2012.06.24
용액론, melt vs. dissolve  (0) 2012.06.22
옥텟 규칙의 예외 (P, S, Cl)  (0) 2012.06.22
몰농도 사용할 때 문제점  (0) 2012.06.21

Posted by 영원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