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소분석 및 질량분석 결과로부터 분자식 구하기
A. 원소분석 결과
(원소분석 시료의 양 : 5~10 mg)
C : 61.2891%, H : 5.0477%, O : 32.1723%
기기분석 결과 중에서 아마도 원소분석이 제일 간단할 듯... 원소의 무게 함량 퍼센트가 다입니다. 합이 딱 100%가 안 되는 것은 잡다한 오차 때문입니다. 이제 이 무게 함량 퍼센트 결과를 가지고 실험식을 만들어 봅시다. 실제 실험에 사용한 시료의 무게는 5~10 mg 정도이지만, 시료의 무게를 100 g이라고 가정합니다. 그러면, 원자의 무게 함량 퍼센트를 그대로 원자의 무게로 쓸 수 있고, 이렇게 하면, 원자의 무게와 몰질량으로부터 몰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
C : 61.2891 g ÷ 12.01 g/mol = 5.103 mol
H : 5.0477 g ÷ 1.008 g/mol = 5.008 mol
O : 32.1723 g ÷ 16.00 g/mol = 2.011 mol
대부분 실험 오차 때문에 딱 떨어지는 정수가 바로 구해지지는 않습니다. 이때 약간의 수학적 센스가 필요한데, 이번 실험에선 비교적 쉽게 아래와 같은 실험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.
실험식 = C5 H5 O2
B. 질량분석 결과
Mass of molecular ion : 194
실험식량 계산 = 5×12.01 + 5×1.008 + 2×16.00 = 97.10 g
분자량 / 실험식량 = 194 / 97.10 = 2
분자식 = 2 × C5 H5 O2 = C10 H10 O4
'일반화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학양론적 계산 (0) | 2012.06.19 |
---|---|
실험식과 분자식 (0) | 2012.06.19 |
질량(mass) vs. 무게(weight) (0) | 2012.06.15 |
아보가드로(Avogadro) 수와 몰(mol) (0) | 2012.06.14 |
화학식량 (0) | 2012.06.14 |